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estautomation
- 절벽아래은둔자
- hutc
- 업로드모드
- TP4056
- CM-50
- 올로
- chromedriver
- arduino
- mysql4
- Ollo
- 테스트 자동화
- 테스트자동화
- c#
- MBLOCK
- 무명의개발자
- 아두이노
- 크롬드라이버
- 다이나믹셀
- 코딩봇
- QA
- automation
- 효용감
- Dynamixel
- 아두이노코딩봇
- Robotis
- 엠블록
- NocoDB
- 로보티즈
- ChatGPT
- Today
- Total
목록다이나믹셀 (3)
Hermit Under the Cliff

아두이노 코딩봇 자작 프로젝트의 아마 마지막 포스트, 총정리 입니다. 모든 코드들은 아래 Github에 올려 두었습니다. https://github.com/reitn/OlbinBot GitHub - reitn/OlbinBot: Olbin Coding bot based on Arduino and Mblock Olbin Coding bot based on Arduino and Mblock. Contribute to reitn/OlbinBo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하드웨어 코딩봇의 하드웨어 구성을 위해서 아래와 같은 부품들이 사용되었습니다. - 아두이노 우노 (호환보드 사용) - 로보티즈 올로 CM-50 (Device Id 및 C..

지난번 포스트에서는 아두이노를 USB to Serial 보드로 활용하여 이미 제공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CM-50을 제어를 해 보았습니다. 저의 목적은 아두이노를 통해서 CM-50을 컨트롤을 하고, 이를 다시 블록코딩을 통해서 간단한 코딩봇을 만드는 것 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PC의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아두이노에서 직접 CM-50을 컨트롤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에 앞서 간단한 구조를 정합니다. 제가 쓰기로 결정한 블록코딩 툴인 Mblock은 물론이고 다른 블록코딩 툴 대부분이 아두이노와 시리얼 통신으로 명령어를 전달 합니다. 이 말은 아두이노의 시리얼 포트는 이미 사용이 된다고 가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기본 시리얼 포트를 사용할 수 없다고 봐야 합니다. 제가 쓰는 아두이노 Uno 보드는 시..

지난번 포스트에서 로보티즈 올로의 CM-50 모듈의 UART 커넥터를 찾았고, 메뉴얼을 찾아 이 커넥터의 Pin 구성까지 알았습니다. 이제 Serial 통신을 이용하여 CM-50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볼 차례입니다. 우선 PC에서 Serial 통신을 하려면 요즘 나오는 PC에는 시리얼 포트가 없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USB to Serial 칩을 이용하여 합니다. 회사라면 여기 저기 굴러다니는 저런 USB to Serial 보드들이 있을텐데 집에 당장 가진 것이 없으니 아두이노를 USB to Serial로 이용해 봅니다. 구글 검색을 통해 아두이노의 GND와 RESET 단자를 점퍼선으로 이어주면 간단하게 USB to Serial 장치로 이용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결선은 아래와 같이 해 줍니다. 아두이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