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mit Under the Cliff

[Arduino] 아두이노 코딩봇 만들기 (15) - 하드웨어 구성 본문

Personal Projects/아두이노 코딩봇

[Arduino] 아두이노 코딩봇 만들기 (15) - 하드웨어 구성

AnonymousDeveloper 2022. 3. 21. 18:45

따님을 위해서 시작했다가 본격 아빠가 즐기게된 프로젝트

아두이노 코딩봇 만들기의 거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각종 부품들과 회전하는 머리에 대한 구조를 고민하다가

저의 경우는 아래와 같이 구성을 하였습니다.

Olbin Bot MK-II

배터리의 크기가 너무 커서 배치하기가 조금 어려웠는데

18650 배터리 대신 사이즈가 작은 리튬 폴리머를 사용하는게 더 나을 것도 같지만

이미 글루건으로 붙여버려서 이대로 놔두기로 했습니다.

선들도 길이 생각 안하고 그냥 이어버려서 엄청 지저분해 보이는데

이게 또 수제의 느낌이 나기도 하고 해서 그냥 내버려둡니다.

 

우선, 충전 가능한 코딩봇을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18650 배터리와 TP4056 모듈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제 코딩봇을 USB-C 타입으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켜고 끌 수 있도록 간단한 스위치 작업도 해주었습니다.

18650 배터리와 TP4056 모듈

 

아두이노의 Vin으로 들어가는 전압은 7V 정도를 권장을 하기에

아래와 같이 DC Step-up 모듈을 이용하여 (SX1308사용) 7V로 승압을 시켜주었습니다.

또한 초음파센서, Dot Matrix, 서보모터 등도 아두이노 5V 로는 전류량이 부족하여

DC Step-up 모듈을 하나 더 사용하여 5V로 승압을 시켰습니다.

추가로 CM-50의 배터리도 선을 뽑아서 5V에 연결을 해주었습니다.

18650 배터리가 2000mA 용량이라 아마 되지 않을까 싶은데, 정확한 계산은 안해봤습니다.

 

SX1308 DC Step up converter. 다른 걸 사용하셔도 됩니다.

 

만능기판 하나에 버튼 및 5V 전원핀, GND 핀 등을 납땜을 하여 결선이 쉽게 하려고 했는데

위 사진들을 보셔서 아시겠지만 전선이 정말 어마어마하게 복잡해 보입니다.

전원선과 접지선용 pin들

그래도 아래와 같이 문제가 있을 때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해

아두이노가 올려진 판을 들어올릴 수 있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최첨단 시스템!

자세한 결선 정보는 fritzing(https://fritzing.org/) 이라는 툴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하였고 회로도 파일 역시 깃허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github.com/reitn/OlbinBot

 

GitHub - reitn/OlbinBot: Olbin Coding bot based on Arduino and Mblock

Olbin Coding bot based on Arduino and Mblock. Contribute to reitn/OlbinBo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Comments